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연금 가입증명서는 개인의 국민연금 가입 이력을 공식 확인하는 서류입니다.
이 글 하나로 PC(홈페이지)·모바일 앱 발급부터 PDF 저장/팩스/전자문서지갑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요약: 1분에 보는 핵심
| 발급 채널 | ① NPS 홈페이지 전자민원 ② 내 곁에 국민연금 앱(모바일) ③ (제출 시) 전자문서지갑 연계 |
| 언어 | 국문/영문 선택 가능(개인용) |
| 처리 | 즉시(전자 발급), 진위확인은 발급일로부터 일정 기간 내 가능(온라인) |
| 수수료 | 온라인 발급 일반적으로 무료(오프라인/우편은 기관별 상이) |
| 제출 | PDF 저장/인쇄, 팩스 전송(앱 지원), 전자문서지갑 보관·전송 |
가입증명서 vs 연금산정용 내역
| 가입자 가입증명서 | 가입(취득)·상실 등 가입 이력을 확인하는 기본 증명서(국/영문) |
|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 | 연금 산정을 위한 상세 가입·납부 내역(국/영문) — 제출처 요구에 맞춰 선택 |
준비물 & 앱 설치
| 본인 인증수단 | 민간/공동 인증 등(로그인·발급용) |
| PC/모바일 | PC: NPS 전자민원 / 모바일: 내 곁에 국민연금 앱(안드로이드·아이폰) |
| 제출 옵션 | PDF 저장·인쇄, 앱 내 팩스 전송(지원), 전자문서지갑 보관·전송 |
발급 방법
방법 A) PC — NPS 전자민원(홈페이지)
- NPS 전자민원 접속 → 로그인
- 증명서 발급 > 가입자 가입증명(국/영문) 선택
- 발급 대상·언어(국문/영문)·용도를 선택 후 즉시 발급
- PDF 저장/인쇄 또는 진위확인 안내에 따라 제출
방법 B) 모바일 — 내 곁에 국민연금 앱
- 앱 설치·로그인 → 증명서 발급 메뉴
- 가입증명서(국/영문) 선택 → 본인확인 → 발급
- 필요 시 제출기관 팩스 전송 또는 전자증명서(전자문서) 형태로 보관·전송
방법 C) 전자문서지갑 활용(제출 편의)
- 전자문서지갑(정부24·네이버·카카오 등) 지원 범위 내에서 전자증명서를 보관·전송
- 앱에서 ‘전자문서지갑/전자증명서’ 항목을 선택해 제출처 요구에 맞게 공유
PDF·팩스·진위확인
| PDF 저장 | 파일명에 성명_발급일 등 구분자 기입(예: 홍길동_가입증명_2025-10-21.pdf) |
| 팩스 전송 | 앱에서 제증명 팩스 기능 제공(발송 결과 화면 캡처/보관 권장) |
| 진위확인 | NPS 홈페이지의 증명서 진위확인 메뉴에서 발급일로부터 유효기간 내 확인 가능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온라인 발급은 무료인가요?
온라인(홈페이지·앱) 발급은 일반적으로 무료입니다. 우편/오프라인은 기관 규정에 따라 비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Q2. 영문 가입증명서도 발급되나요?
가능합니다. PC/모바일 발급 단계에서 영문을 선택하면 즉시 발급됩니다.
Q3. 전자문서지갑으로 제출해도 되나요?
전자문서지갑 보관·전송이 가능하며, 제출처의 전자증명서 인정 범위를 사전 확인하세요.
Q4. 진위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NPS 홈페이지의 증명서 진위확인 메뉴에서 발급번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유효기간 내).
Q5. 팩스로 바로 보낼 수 있나요?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은 제증명을 팩스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제출기관 번호를 확인해 발송하세요.
오류 해결 체크리스트
- 로그인/인증 실패 → 인증서 비밀번호·유효기간 확인, 앱/브라우저 최신 업데이트
- PDF 열람 오류 → 다른 PDF 뷰어 사용, 저장 위치/파일명 특수문자 점검
- 전자문서지갑 미노출 → 발급 단계에서 ‘전자문서’ 수령 방식을 선택했는지 확인
- 팩스 실패 → 번호/수신시간/용지상태 확인 후 재전송
체크리스트(다운로드용 텍스트)
- [ ] 발급 채널 선택: NPS 홈페이지 / 내 곁에 국민연금 앱
- [ ] 언어 선택: 국문 / 영문
- [ ] 제출 방식: PDF / 인쇄 / 전자문서지갑 / 팩스
- [ ] 제출처 전자증명서 인정 범위 확인
- [ ] 발급 후 진위확인 경로 메모
업데이트: 2025-10-21 · 본 가이드는 기관 공지 변경 시 수시 보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