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놓치면 안 되는 이유와 완벽 준비법

자상한곰돌이 2025. 11. 21. 03:00

2026년 국가장학금 신청기간이 드디어 시작됐습니다. 놓치면 연간 최대 600만 원까지 손해 볼 수 있어요. 등록금 부담을 줄이고 싶은 분들은 지금 5분만 투자해서 신청기간, 국가장학금 신청방법, 지원금액과 조건을 한 번에 확인해 보세요.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놓치면 안 되는 이유와 완벽 준비법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놓치면 안 되는 이유와 완벽 준비법

 

2026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기간·마감일정

2026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1차 신청기간은 2025년 11월 20일(목) 오전 9시부터 2025년 12월 26일(금) 오후 6시까지입니다. 주말과 공휴일을 포함해 24시간 신청 가능하지만, 마감일에는 오후 6시에 신청이 종료됩니다.

서류 제출 및 가구원 동의는 2025년 11월 20일부터 2026년 1월 2일(금)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재학생은 원칙적으로 1차 기간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2차 신청은 보통 이듬해 2~3월에 진행되며, 주로 신입생·편입생·재입학생·복학생과 1차를 놓친 학생들이 대상이 됩니다.

요약: 1차 신청 11/20~12/26 18시, 서류·가구원 동의는 2026/1/2까지, 재학생은 1차 신청 필수

3분 완성 국가장학금 온라인 신청방법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앱 접속

국가장학금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인증(카카오, PASS 등)으로 본인인증 후 로그인하면 국가장학금 신청 메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 신청서 작성 (가구원 동의 포함)

국가장학금 신청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신청 메뉴에서 국가장학금을 선택하고, 본인의 학적 정보와 함께 가구원(부모 또는 배우자)의 인적 사항, 소득·재산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부모님이 따로 사는 분들은 각각을 가구원으로 등록해야 하며, 가구원 동의까지 완료해야 소득구간(학자금 지원구간)이 정상 산정됩니다.

소득·재산 서류 제출 및 신청 완료 확인

소득증빙서류는 홈택스, 민원24 등에서 전자제출되거나, 필요한 경우 온라인 업로드·우편 제출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에는 문자 메시지와 마이페이지에서 신청완료·서류 보완 여부·국가장학금 조건 충족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약: 홈페이지·앱 접속 → 본인·가구원 정보 입력 → 가구원 동의·서류 제출 → 마이페이지에서 신청 상태 확인

국가장학금 지원금액·조건 한눈에 보기

국가장학금 Ⅰ유형은 학자금 지원구간(소득분위) 0~9구간 이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등록금 범위 안에서 국가장학금 지원금액을 구간별로 차등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6학년도 기준으로 기초·차상위 및 8구간 이하 다자녀 가구 셋째 이상 대학생은 등록금 전액 지원을 받을 수 있고, 1~3구간은 연간 최대 600만 원, 4~6구간은 최대 440만 원, 7~8구간은 최대 360만 원, 9구간은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실제 지급액은 등록금 및 구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기본적인 국가장학금 조건은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평점 80점(백분위 기준) 이상이며, 기초·차상위 계층과 장애학생 등은 성적 기준이 완화되거나 미적용됩니다. 또한 1~3구간은 C학점 경고제가 적용되어 성적이 다소 낮아도 일정 횟수까지는 지원이 가능하니 반드시 포기하지 말고 신청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장학금 Ⅱ유형은 각 대학이 자체 예산과 기준에 따라 추가로 지급하는 장학금으로, 재학 중인 학교의 장학 공지(학생지원처, 장학팀)를 확인하면 국가장학금 Ⅰ유형과 함께 이중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요약: 0~9구간까지 지원, 기초·차상위·다자녀 셋째 이상은 전액, 1~3구간은 연 최대 600만 원까지 차등 지원

실수하면 탈락하는 국가장학금 신청 함정

가장 흔한 실수는 가구원 등록·동의 누락입니다. 부모님이 따로 거주하더라도 소득·재산 심사 대상이므로 반드시 가구원으로 등록해야 하며, 동의를 하지 않으면 소득구간 산정이 되지 않아 탈락하거나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서류 제출·가구원 동의는 신청기간과 별도의 마감일(2026년 1월 2일 18시)까지 완료해야 함
  • 장학금 지급 계좌는 반드시 본인 명의 계좌로, 계좌번호·은행명 오타 주의
  • 휴학·복학 계획을 꼭 확인 – 휴학 학기에는 장학금 수혜가 제한될 수 있고, 등록휴학·이연 처리 여부에 따라 장학금이 복학 학기로 이월되거나 취소될 수 있음
요약: 가구원 등록·동의 누락 금지, 서류·동의 마감일 체크, 계좌·학적 상태를 신청 전에 반드시 확인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지원금액표 (2026 기준)

소득분위(학자금 지원구간)는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종합해 산정하며, 분위가 낮을수록 더 많은 국가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2026학년도 기준 국가장학금 Ⅰ유형 연간 최대 지원금액 예시입니다.

소득분위 지원금액 (연간 최대) 비고
기초·차상위 등록금 전액 학자금 지원구간 0구간, 등록금 범위 내 전액
1~3구간 600만 원 학기당 최대 300만 원
4~6구간 440만 원 학기당 최대 220만 원
7~8구간 360만 원 학기당 최대 180만 원
9구간 100만 원 학기당 최대 50만 원, 일부 지원
요약: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지원금액이 커지고, 2026년 기준 연 최대 600만 원까지 등록금 범위 내에서 국가장학금 지원 가능